본문으로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계간『미래정책 포커스』2024년 여름호 발간
  • 작성일시2024-08-13 00:00
  • 조회수468

(1/4) 계간『미래정책 포커스』2024년 여름호 발간 - 자세한 사항은 하단 참조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보도자료

대한민국 미래를 선도하는 국가정책연구의 허브

  • 보도일시 2024. 8. 13.(화) 11:00
  • 배포 일시 배포 즉시
  • 담당 부서 기획평가본부 성과확산부
  • 책임자 부장 안현수 (044-211-1140)
  • 담당자 부전문위원 전민선 (044-211-1143)
新통상과 통상질서의 변화, 대한민국의 돌파구는 - 싱크탱크 저널 미래정책 포커스 2024 여름호 발간 -
  •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이사장 신동천)는 싱크탱크 저널인 「미래정책 포커스」(계간) 2024년 여름호를 발간했다.

    계간지 창간 10주년(40호)를 맞이하여, 41호부터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를 위해 디자인을 대폭 개편하였다. 제호 디자인에 스탠실 기법을 적용하여 트랜디함을 살렸으며, 정책 전문지로서의 정체성을 강화 하기 위해 특집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지에 크게 배치하여 주제에 따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 11월 예정된 미국 대선을 앞두고 정책 변화가 통상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는 가운데,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은 점차 커 지고 있다. 이번 호 특집에서는 새로운 통상환경에서의 대응 전략에 대해 알아보았다.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할 새로운 접근법'을 주제로 한 특별좌담 에는 김종덕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무역통상안보실장, 이효영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국제통상경제안보연구부 교수,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동향 분석실장, 노영우 매일경제 국제경제전문기자가 참석하였다.

(2/4) 계간『미래정책 포커스』2024년 여름호 발간 - 자세한 사항은 하단 참조

주요 경제 대국을 중심으로 한 경쟁적 보호무역 시대가 지속되는 가운데 노동·환경·디지털·인공지능(AI) 등 신통상 이슈에 대응하여 정부와 기업 모두 능동적으로 대처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슈 인사이트에서는 허윤 서강대학교 교수는 '美 대선 전야, 통상질 서 변화와 대한민국의 전략'을,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국의 무역제재와 중국의 전략'을 분석하였다. 이어 최유경 한국법제연구 원 연구위원은 'EU의 새로운 통상규범, CS 3D와 'E.S.G."를, 권율 대 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글로벌 사우스의 부상과 대응과제' 를, 이창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는 '신통상 전략과 한일의 새로운 협력공간'에서의 대응 전략을 다루었다.

  • 한편, 새롭게 기획된 연간기획 시리즈 「인구 국가비상사태에 걸맞은 비상한 대책」의 첫 번째 주제로 '인구소멸 미로 속, 대한민국이 가야할 길'을 모색해보았다.

    주형환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을 만나, 출산율 0.65(2023년 4분기 기준)의 인구 위기 시대(100쌍의 부부(총 200명)가 평생 낳는 자녀가 65명에 불과)에서 2030년 출산율 1.0을 향한 대한민국의 도전 과제를 들어보았다. 주형환 부위원장은 "인구 국가비상사태 선언은 저출생의 문제를 미래의 문제가 아닌 현실 문제로 인식하고, 추세 반전을 반드시 이루겠다는 비 상한 각오를 반영한다"며, "3대 핵심 분야(일·가정 양립, 양육, 주거)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확실히 하겠다"고 제언하였다.

    박소연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저출산정책총괄과장은 '정부의 대응전 략'을, 안수지 국회미래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초저출산의 현실'를, 김영 아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프랑스의 인구정책' 사례를, 김진환 고 용노동부 워킹맘&대디 현장멘토단은 '정책수요자의 목소리'를 주제로 각각의 생각을 담았다. 이어 노용식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연구기획부 장은 '위원회-NRC 공동대응' 사례를 통해 저출생 반전과 고령사회 해 법 마련을 위한 국책연구기관의 노력을 소개하였다.

(3/4) 계간『미래정책 포커스』2024년 여름호 발간 - 자세한 사항은 하단 참조

※ 2009년부터 발행된 「미래정책 포커스」는 국민과 정책관계자 등에게 주요정책 및 사회 이슈 관련 경제·인문사회연구회와 국책연구기관의 연구성과와 정책제언, 그리고 싱크탱크 영역 전반을 아우르는 담론을 제공하는 싱크 탱크 전문지로 발간되고 있다.

※ 「미래정책 포커스] 웹진 * 「미래정책 포커스」의 모든 콘텐츠를 온라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www.nrc.re.kr/focus

※ 오프라인 구독 문의: focus@nro.re.kr

(4/4) <붙임> 「미래정책 포커스] 2024년 여름호 표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