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상세보기 화면

NRC폴리시브리프

[NRC POLICY BRIEF] ISSUE 79. 지속가능한 미래 기획을 위한 인구의 질적 전망과 정책과제

  • 국가비전과 전략연구
  • 위원회 및 연구단
파일 다운로드 ( 다운로드 : 800회 )
글자크기 설정
[NRC POLICY BRIEF] ISSUE 79. 지속가능한 미래 기획을 위한 인구의 질적 전망과 정책과제 대표이미지
  • 발행기관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 발간년도 2024년
  • 페이지수19
  • 연구자송창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주요내용

external_image

Key Messages and Proposals

• 초저출산(2023년 합계출산율 0.72명)과 급격한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 대응은 교육, 노동, 보건의료 등 주요 정책 영역의 핵심 과제이다. 특히 생산연령인구 감소와 부양비 증가는 한국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이다.• 이러한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각 정책 영역별 과제 도출이 시급하다. 교육 영역에서는 학령인구 감소 대응을 위한 대학의 평생교육 허브화와 성인 재교육 지원이, 노동 영역에서는 생산인구 확보를 위한 고령층・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와 직무역량 강화 

지원이, 보건의료 영역에서는 고령화 대비 AI・빅데이터 기반 정밀의학 도입과 예방적 건강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 이들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마이크로시뮬레이션(MSM)과 중첩세대 일반균형모형(OLG)의 상호보완적 활용이 요구된다. MSM을 통해 개별 정책의 미시적 효과를, OLG를 통해 세대 간 경제적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정책의 종합적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두 모형을 활용한 정교한 정책 시뮬레이션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코호트 수립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협동연구총서 NKIS(국가정책연구포털) 바로가기

[24-19-01] 지속가능한 미래 기획을 위한 인구의 질적 전망과 정책과제(총괄보고서)

https://www.nkis.re.kr/subject_view1.do?otpId=OTP_0000000000014715&otpSeq=0

[24-19-02] 지속가능한 미래 기획을 위한 인구의 질적 전망과 정책과제(심층보고서)

https://www.nkis.re.kr/subject_view1.do?otpId=OTP_0000000000014716&otpSeq=0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