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상세보기 화면

협동연구보고서

신북방지역 수출시장 확대 전략 : 한류(K-브랜드)를 활용한 협력 정책

  • 국가비전과 전략연구
  • 위원회 및 연구단
압축파일 다운로드
신북방지역 수출시장 확대 전략 : 한류(K-브랜드)를 활용한 협력 정책 대표이미지
  • 주관산업연구원
  • 발행기관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 발간년도 2021년
  • 페이지수400
  • 연구자김학기

주요내용


요약/내용

코로나19 팬데믹 사태 이후 신북방정책(New Northern Policy) 대상 국가들의 경제정책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경제 협력을 위한 여건 역시 크게 변하였다. 북방국가 대부분이 창조산업과 창조문화를 새롭게 강조하고 있고 온라인 시장도 급성장하고 있다.

본 보고서의 목적은 신북방정책 관련 국가들을 대상으로 시장 확대와 새로운 시장 개척 방법을 찾아보는 데 있다. 특히 한류와 같은 문화적 접근법으로 시장 확대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한류는 한국의 문화가 해외로 전파되어 소비되는 경제, 사회, 문화적 현상을 가리킨다.

본 보고서의 주요 연구 대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북방국가의 경제 동향과 정책 변화에 대한 검토
둘째, 한류의 동향과 북방국가 수출시장과의 연계 가능성 검토
셋째, 한국과 북방국가 간의 교역 동향 분석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도출
넷째, 한류(K-브랜드)를 활용한 북방지역 국가별 경제교류 확대에 필요한 정책 검토

검토 대상 국가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몰도바, 조지아,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중앙아시아 5개국(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과 중국 동북 3성, 몽골 등이다.

연구 목적을 고려한 본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북방국가들의 최근 경제 동향과 비대면 분야 정책을 정리하였다. 러시아, 우크라이나,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주요 협력 대상 국가들은 광대한 영토로 통신 인프라 구축에 어려움이 있지만, 디지털경제 확산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전자상거래가 크게 늘어나고 있고 대부분 북방국가에서도 통신 인프라 구축, 전자상거래 확대, 원격 교육, 원격 의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북방국가 주요 도시에서는 가까운 장래에 비대면 경제를 위한 기반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제3장에서는 북방국가들의 문화정책을 시기별로 정리하였다. 많은 국가에서 새롭게 변화하는 기술 및 경제 환경을 반영해 창조 경제와 창조 문화 개념을 문화에 도입하고 있고 연관 산업과의 시너지를 얻고자 노력하고 있다. 러시아는 조만간 창조산업을 지원하는 기관도 설립할 예정이다. 창조산업 관련부문은 디자인, 건축, 영화,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광고, 공연 및 시각 예술, 패션, 출판, 음악, 컴퓨터그래픽, 공예, 소프트웨어, 텔레비전, 라디오 등이다.

제4장에서는 북방국가들의 수출입 동향 검토를 통해 한국과의 잠재적 협력 대상 품목을 도출하였다. 북방국가의 시장 규모는 크지는 않지만, 성장 속도는 빠르다. 북방국가에 대한 한국 중소기업의 수출 비중은 러시아(2.5)를 제외하고 나머지 국가들에 대해서는 1에도 미치지 못한다. 북방국가에 대한 수출에서 한류와 연관시킬 수 있는 상품의 수출 규모 역시 매우 작다. 따라서 한류를 활용하여 북방국가에 수출을 확대하려는 정책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제5장에서는 북방국가에서의 최근 한류 동향을 살펴보고 한류가 수출이나 경제 협력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한류는 북방국가에도 확산되고 있지만, 중국에서는 한류의 인기가 하락하고 있다. 러시아에서도 한류가 확대되고 있지만, 적극적 이용자 비중(13)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2017~2019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류로 인한 소비재 수출 효과는 증가하지 않고 있다. 한류의 경제적 효과는 식료품, 화장품, 의류, 액세서리 등 일부 소비재에 국한되고 있다. 구매 주기가 길고 고가 제품들은 한류보다는 소비자 소득 수준, 상품의 질, 기업의 판매 활동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한류를 활용한 북방국가에 대한 경제 협력 확대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 하였다. 현재 한류를 활용한 수출 확대 정책은 마케팅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정부의 한류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은 주로 중소기업의 수출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지원 대상 품목도 화장품, 식품, 일부 소비재에 한정되어 수출 증대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한류를 활용한 경제적 효과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K-POP, K-드라마와 같은 K-문화 외에도 K-디지털, K-산업, K-메디컬 등 한국이 자랑할 수 있는 분야를 ‘K-브랜드’로 확산시키는 종합적 대응책이 필요하다. 세계적 모범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한국의 경제 및 문화 분야의 성공 사례를 브랜드화하여 북방국가는 물론 세계 각국에 한국의 소프트 파워를 확산시킬 수 있는 종합적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북방국가의 최근 경제 동향과 정책 방향
제3장 북방국가의 문화정책 특징과 시사점
제4장 한국과 북방국가 간 수출입 동향과 유망품목
제5장 한류 동향과 신북방 수출시장 활용 잠재력
제6장 한류를 활용한 신북방 시장 확대 전략
제7장 러시아 문화산업의 온라인화와 시사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