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상세보기 화면

행사자료집

2024년 제4차 육아정책 심포지엄: 정부조직법 개정 이후, 유보통합 R&D 발전 방안

  • 국가비전과 전략연구
  • 위원회 및 연구단
글자크기 설정
2024년 제4차 육아정책 심포지엄: 정부조직법 개정 이후, 유보통합 R&D 발전 방안 대표이미지
  • 일자 2024년 12월 13일
  • 장소육아정책연구소 대회의실
  • 주관육아정책연구소, 안상훈 의원실
  • 발행기관육아정책연구소
  • 발간년도 2024년

핵심요약

  • 육아정책 R&D 허브, 육아정책연구소의 유보통합 연구 추진 현황 소개
  • 영유아교육과정 개발 적용 관련 연구
  • 영·유아 교원 양성 및 자격체계 연구 경향
  • 2024년 유보통합 시범사업 (『(가칭) 영유아학교시범사업』) 실행 지원 연구
  • 경제적 관점에서 바라본 유보통합의 실질적 의미

주요내용

육아정책연구소는 2024년 12월 13일(금) 오후 2시 30분, 명동포스트타워 9층에 위치한 연구소 대회의실에서 ‘정부조직법 개정 이후, 유보통합 R&D 발전 방안’을 주제로 제4차 육아정책 심포지엄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심포지엄은 안상훈 국회의원실과의 공동 주최로 이루어졌습니다.



본 심포지엄의 주제발표 세션은 총 5개의 발표로 구성되었습니다. 첫 번째 발표에서는 최은영 선임연구위원(육아정책연구소 기획조정본부장)이 ‘육아정책 R&D 허브, 육아정책연구소의 유보통합 연구 추진 현황’을 주제로 육아정책연구소의 유보통합 연구 전반에 대한 종합 소개를 진행했습니다. 이어서 김은영 선임연구위원(육아정책연구소 영유아교육보육정책연구실장)이 ‘영유아교육과정 개발 적용 관련 연구’에 대해 발표했고, 강은진 선임연구위원(육아정책연구소 저출생가족정책연구실장)은 ‘영유아 교원 양성 및 자격체계 연구 경향’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네 번째로 김은설 선임연구위원(육아정책연구소 유보통합 시범사업 중앙지원센터)이 ‘2024년 유보통합 시범사업 실행((가칭) 영유아학교 시범사업) 지원 연구’에 대해 발표했으며, 마지막으로 최효미 연구위원(육아정책연구소 학부모정책연구팀장)이 ‘경제적 관점에서 바라본 유보통합의 실질적 의미’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주제발표 후에는 종합토론이 이어졌습니다. 종합토론의 좌장은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정선아 교수가 맡아 진행했으며, 학계, 학부모, 예비교사, 언론인 등 다양한 분야의 참여자들이 토론에 함께했습니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의 홍근석 연구위원은 유보통합의 행·재정적 측면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고, 전북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 김정현 교수는 유보통합과 관련한 법 개정 사항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학부모 대표로는 이마리아 어머니가 참석해 학부모의 관점에서 유보통합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고, 예비교사로는 삼육대학교 유아교육과 최한울 학생과 국립목포대학교 아동학과 정예빈 학생이 참여해 예비교사로서의 시각을 발표했습니다. 또한, 서울신문의 김지예 기자는 언론인의 관점에서 유보통합에 대한 질문과 의견을 개진해 논의의 폭을 넓혔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