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RC POLICY BRIEF] ISSUE 90. AI 기반 갈등관리 DB 구축 및 운영방안 연구
- 국가비전과 전략연구
- 위원회 및 연구단
- 발행기관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 발간년도 2025년
- 연구자임성근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
핵심요약
- 본 연구는 AI 기술을 활용하여 갈등사례를 작성하는 시스템을 시범적으로 개발하여 갈등DB 구축의 용이성을 획기적으로 끌어 올리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는 갈등관리 연구자, 빅데이터 연구자, AI 개발자 등 세 유형의 전문가 간 협동연구가 필요하여, 한국행정연구원이 주관하고, 정보통신정책연구원과 ㈜아크릴이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하였다.
주요내용
Key Messages and Proposals
• 효율적 갈등관리를 위해서 데이터에 기반한 갈등관리 방안을 적극 강구하여야 한다. 갈등 해소를 위한 불필요한 비용 발생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사회 시스템 마련을 위해 시점별 중요 갈등 사항에 대해서는 선제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속보성 있는 정보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에 기반한 갈등의 특징 파악 및 진단은 향후 갈등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 개발한 "LISTEN"은 공공갈등을 분석하기 위해 데이터 크롤링을 활용하는 AI 기반 시스템으로, 복잡한 데이터셋에서 중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정리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제공한다. LISTEN 시스템은 생성형 AI를 활용해 갈등이슈를 자동으로 요약하며, 시간에 따른 갈등 추이 분석, 유사 사례 비교 및 학습, 원문 조회 기능 등 광범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이해관계자 분석, 감정분석, 그리고 키워드 및 쟁점 분석 기능을 통한 갈등 양상의 시각화를 제공해 정보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LISTEN은 개선점이 다수 존재하지만, 행정 및 정책 분석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 효율적 갈등관리를 위해 갈등관리 지원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 이때 AI 등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갈등관리 지원플랫폼은 기존에 발생한 갈등사례에 대한 원인, 단계 및 변화추이, 유형, 특성, 쟁점(입장 및 이해관계), 이해관계자, 강도, 대응양식, 해소여부 등에 대한 DB구축 및 정보제공을 통해 갈등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한다.
• 효율적으로 갈등관리 지원플랫폼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정부 각 부처, 지방자치단체, 갈등 관련 기관 등의 갈등 관련 자료(갈등연구 결과, 갈등진단 결과, 갈등통계, 갈등영향평가 결과, 갈등컨설팅 결과 등)를 받고 공유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보완과 지원체제가 필요하다. 특히, ‘갈등관리기본법’을 제정하여 법적 근거와 예산 확보 근거 마련이 절실하다.
협동연구총서 NKIS(국가정책연구포털) 바로가기
AI 기반 갈등관리 DB 구축 및 운영방안 연구
https://www.nkis.re.kr/subject_view1.do?otpId=OTP_0000000000014347&otpSeq=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