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식 생태계 탐구  

노르웨이의 연구윤리 거버넌스와 NESH

비다르 에네박(Vidar Enebakk)NESH  이사 2023 겨울호

연구윤리는 국가 연구 생태계의 핵심에 있어야 한다. 최근 몇 년 동안 국제적으로 사기와 부정행위를 방지하고 책임감 있는 연구 수행을 촉진하며, 과학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연구윤리 거버넌스는 국가 간 양식의 차이, 기관 간 다양한 프레임워크, 문화적 가치에 따라 조정되어야 한다. 노르웨이 모델과 사회과학 및 인문학 연구윤리 국가위원회(National Committee for Research Ethics in the Social Sciences and the Humanities, 이하 NESH)는 이러한 다양성을 고려한 사례로 살펴보고자 한다.

국제적 연구윤리의 흐름과 네트워크의 등장

국가 연구 생태계는 연구의 질적 향상과 책임을 강화할 때 국제적 관점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많은 기관들이 관련 자원을 개발해왔는데, 예를 들어 유엔(UN)은 세계인권선언(제27조 1항)에서 “모든 사람은 공동체의 문화생활에 자유롭게 참여하고, 예술을 감상하며, 과학의 진보와 그 혜택을 향유할 권리를 가진다”고 명시한 대표적인 국제 기구이다. 이와 같은 접근 방식에 따라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는 최근 오픈 사이언스 권고안(Recommendation on Open Science, 2021)에서 연구에서의 개방성과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연구 진실성에 대한 국제 컨퍼런스(World Conferences on Research Integrity)에서는 연구 진실성에 대한 싱가포르 성명서(The Singapore Statement, 2010), 공동 연구에 대한 몬트리올 성명서(The Montreal Statement, 2013), 책임 있는 평가를 위한 홍콩 원칙(The Hong Kong Principles, 2019), 공정성과 형평성에 대한 케이프타운 성명서(The Cape Town Statement, 2023)와 같은 문서를 발간했다. 이와 유사하게 유럽의 ENRIO, 아시아의 APRI, 아프리카의 ARIN과 같은 지역적 진실성 네트워크도 등장했다. 이러한 자원들은 세계를 대상으로 개방형 과학과 개방형 혁신을 육성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유럽에서는 연구기금 제공자들이 연구윤리 및 진실성 증진을 위해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유럽의 주요 연구혁신 프로그램인 호라이즌 유럽(Horizon Europe)의 모든 지원자는 윤리 평가 절차를 준수해야 하며, 연구윤리가 프로젝트의 모든 부분과 단계에 필수적인 요소임을 보장해야 한다. 또한 모든 연구기관의 협정은 연구 진실성을 위한 유럽 행동강령(The European Code of Conduct for Research Integrity)을 준수해야 한다. 유럽연합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는 연구 진실성에 관한 프로젝트에 기금을 지원하고, 표준 운영 절차(SOPs4RI)와 같은 실용적인 도구를 개발하여 연구 진실성을 강조하고 있다.

대안적 연구윤리 프레임워크의 개발

많은 국가에서 생물의학 연구에 특화되어 개발된 연구윤리 시스템이 모든 학문에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는 소위 ‘윤리적 제국주의(ethical imperialism)’라고 불리는데, 특히 사회과학과 인문학 연구에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노르웨이는 생물의학 분야를 벗어나 다양한 연구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연구윤리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 1990년 노르웨이 의회는 의학 및 보건 연구(NEM), 자연과학 및 기술(NENT), 사회과학 및 인문학(NESH)을 다루는 세 개의 자문위원회를 설치하였다. 이들 자문위원회가 모여 노르웨이의 국가연구윤리위원회(NREC)를 구성하였다.

1993년부터 NESH는 사회과학 및 인문학 연구윤리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으며, 이 가이드라인은 해당 분야의 연구에 대해 윤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1999년, 2006년, 2016년, 2021년에 개정판이 발간되었으며 각 개정판은 대중의 자문 과정을 거쳤다. 가장 최근 개정판에는 60명 이상의 연구자, 연구기관, 기타 연구 주체들의 피드백이 반영되었다. 이 가이드라인은 국내법 및 행동강령 이행을 넘어서 연장되는 연구자에 의한, 연구자를 위한 지침으로 개발되었다. 아울러 자율 규제와 학문의 자유의 원칙에 따라 연구자들의 윤리적 책임의식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윤리에 대한 광범위한 정의를 담고 있으며, 사회과학 및 인문학 관련 다양한 주제와 다양한 행위자들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여기에는 연구기관, 연구기금 제공자, 커미셔너, 출판사, 협력자, 공공 및 민간 부문의 기타 이해관계자가 포함되며 모든 연구가 윤리적 원칙에 부합하도록 하기 위한 공동의 책임을 강조하고 있다.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해야

각 국가는 저마다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모든 국가에 적용 가능한 단일 연구윤리 프레임워크는 존재할 수 없다. 노르웨이의 경우처럼 국가 연구윤리 시스템 및 가이드라인을 개발할 때는 개인의 학문적 자유, 기관의 자율성, 사회적 책임 등 다양한 측면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는 공통의 규범과 가치를 충실히 따를 수 있도록 보장하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 공식적인 프레임워크와 행동강령은 머리와 손을 위한 지침으로 기능할 수 있지만, 윤리는 본질적으로 마음과 영혼에서 실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 연구윤리 시스템은 연구 커뮤니티의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여 구성되어야 한다.


NESH and the Governance of Research Ethics in Norway

Vidar Enebakk, PhD, Director NESH; 15 December 2023

Research ethics must lie at the heart of a national research ecosystem. Internationally, a series of resources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to prevent fraud and misconduct, to foster responsible conduct of research, and to strengthe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science. The governance of research ethics, however, must be tailored to fit with national styles, institutional frameworks and cultural values. The Norwegian model, and the National Committee for Research Ethics in the Social Sciences and the Humanities (NESH), offers one example of how this can be done.

International resources

National research ecosystems canbenefit from international perspectives when fostering quality and responsibility in research. Many organizations have developed relevant resources, for instance the United Nations (UN), and according to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rt. 27 (1)), «Everyone has the right freely to participate in the cultural life of the community, to enjoy the arts and to share in scientific advancement and its benefits.» Following this approach,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emphasises the importance of openness and cooperation in research, as in the recent Recommendation on Open Science (2021). In addition, the World Conferences on Research Integrity have produced documents such as The Singapore Statement on research integrity (2010), The Montreal Statement on collaborative research (2013), The Hong Kong Principles for responsible assessment (2019), and The Cape Town Statement on fairness and equity (2023). Similarly, regional integrity networks have emerged, including ENRIO in Europe, APRI in Asia and ARIN in Africa. These resources can be useful when fostering open science and open innovation which is open to the world.

In Europe, research funders have assumed a primary role in promoting research ethics and integrity. All applicants to Horizon Europe, the key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in Europe, must follow an ethics appraisal procedure, ensuring that research ethics is integral to all parts and phases of their projects.  Additionally, all institutional agreements must comply with The European Code of Conduct for Research Integrity. The European Commission has also funded research on research integrity, resulting in practical tools like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for Research Integrity (SOPs4RI). 

The Norwegian model

In many countries, research ethics systems specifically developed for biomedical research are applied to all disciplines. This so called «ethical imperialism» can be problematic for research in the social sciences and the humanities. In contrast, Norway has developed an alternative framework for research ethics outside the biomedical realm. In 1990 the Norwegian Parliament decided that the nation should have three advisory committees, covering medical and health research (NEM),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 (NENT), and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NESH). Together, they constitute The National Research Ethics Committees (NREC) in Norway. 

Since 1993, NESH has developed Guidelines for Research Ethics in the Social Sciences and the Humanities, providing guidance for ethical decision-making in this field of research. Revised editions were published in 1999, 2006, 2016 and 2021, each time involving public consultation. The most recent version incorporated feedback from more than 60 researchers, research institutions and other research actors. Extending beyond adherence to codes of conduct or compliance with national law, the guidelines are developed by researchers and for researchers. They seek to foster ethical responsibility in line with principles of self-regulation and academic freedom. The guidelines contain a broad definition of research ethics and cover a range of topics relevant to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They also address other diverse actors. These include research institutions, funders, commissioners, publishers, collaborators and other stakeholders in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emphasizing their co-responsibility to ensure that all research aligns with ethical principles.

Conclusion

Each nation is unique, and no research ethics framework fits all. When developing national research ethics systems and guidelines, as in Norway, it is important to balance different factors, such as individual academic freedom, institutional autonomy and social responsibility. The involvement of researchers in this process is crucial to ensure allegiance to a common set of norms and values. Formal frameworks and codes of conduct might guide the head and the hand, but ethics must also be nurtured in the heart and the soul. To do this, a national research ethics system should incorporate the many diverse voices of the research community.

기사는 어떠셨나요?
이 기사에 공감하신다면 ‘공감’버튼으로 응원해주세요!

독자 여러분께 더 나은 읽을거리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공감’으로 응원하기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