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그래픽  

결혼, 출산에 대한 청년 인식

2024 가을호

다음 인포그래픽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청년의 결혼 및 출산 인식과 세대지향적 저출생 정책지원망 구축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김형주 외, 2024)의 내용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현재 미혼인 경우 향후 결혼할 생각이 있는지 여부

미혼(N=3,146) 응답자를 대상으로 향후 결혼할 생각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긍정’은 55.7%, ‘부정’은 21.0%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연령이 낮을수록 ‘긍정’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현재 미혼인 경우 향후 결혼할 생각이 없다면 그 이유는

결혼 의향이 없는 미혼(N=660) 응답자를 대상으로 향후 결혼할 생각이 없다면 그 이유에 대해 조사한 결과, ‘결혼 안 하는 생활이 여유롭고 편해서’가 50.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경제적으로 안정되는 것이 더 중요해서’는 26.8%, ‘결혼생활을 유지하는 비용이 부담되어서’는 8.5%로 나타났다.

출산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전체(N=4,530) 응답자를 대상으로 출산에 대한 기본적인 성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자녀가 있어야 한다’ 응답은 54.3%로 나타났으며, ‘자녀가 있을 필요 없다’ 응답은 45.7%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출산율이 매우 낮은 원인에 대한 의견

전체(N=4,530) 응답자를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출산율이 매우 낮은 원인에 대한 의견에 대해 조사한 결과, ‘지나치게 높은 전세값, 집값 등 과도한 주거비’ 가 33.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일과 가정의 균형이 어려운 사회 풍토는’ 16.3%, ‘사교육비 등 과도한 자녀 양육비는’ 15.4%로 나타났다.

현재 자녀가 없는 경우 향후 자녀를 낳을 생각이 없다면 그 이유는

출산 계획이 없는 무자녀(N=982) 응답자를 대상으로 현재 자녀가 없는 경우 향후 자녀를 낳을 생각이 없다면 그 이유에 대해 조사한 결과, ‘우리의 사회경제적 환경상 아이가 행복하게 살기 힘들 것 같아서’가 30.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아이 없는 생활이 여유롭고 편해서’는 29.1%, ‘경제적으로 안정되는 것이 더 중요해서’는 21.4%로 나타났다.

기사는 어떠셨나요?
이 기사에 공감하신다면 ‘공감’버튼으로 응원해주세요!

독자 여러분께 더 나은 읽을거리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공감’으로 응원하기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