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식 교차로
AI는 이제 혁신의 중심에서 세상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 산업과 경제의 패러다임은 물론, 노동 시장의 재편과 일상생활의 변화에 이르기까지 AI가 만들어내는 변화는 모든 영역에 걸쳐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눈부신 기술 발전의 이면에는 일자리 재편, 데이터 편향, 기술 격차와 같은 새로운 도전 과제도 함께 부상하고 있다. 이번 특집에서는 전문가의 시각을 통해 AI가 불러온 기회와 위기, 그리고 우리 사회가 직면한 정책적 과제와 대응 방안을 심도 있게 조명했다. 다가올 AI 시대, 우리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유소년 인구 감소와 고령화의 가속화로 인해 대한민국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이 위협받고 있다. 이로 인해 경제 성장 둔화는 물론, 세대 간 부양 부담이 크게 증가하며 국가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러한 위기를 기회로 바꾸기 위한 정부의 다양한 정책적 노력과 인식 개선이 이어지면서, 출산율 반등에 대한 희망이 조금씩 생겨나고 있다. 이번 연간 기획에서는 출산과 양육이 더 이상 개인의 책임이 아닌, 사회 전체가 함께 지원하는 구조를 만들기 위해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 살펴보고,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전환점을 모색해 보았다
최근호 보기 총 29 건
정책지식 교차로 융합정책연구를 위한 소통 네트워크 : NRC-KAIST 공동 심포지엄 박양하경제·인문사회연구회 연구네트워크부 전문위원 | 2024 겨울호 |
정책지식 교차로 융합적 시선으로 ESG를 논의하다 : 'ESG, 상생과 공존의 모색' 심포지엄 김미영한림대학교 사회학과교수 | 2024 여름호 |
인문학의 경계를 넘어 ‘경세(經世)’적 인문, 인문정책 거버넌스의 고갱이 김월회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 2024 봄호 |
정책지식 생태계 탐구 국제협력을 통한 새로운 가능성 : 국가연구체제 발전전략 사례조사를 위한 유럽 싱크탱.. 장익상경제·인문사회연구회 예산부 전문위원 | 2024 봄호 |
인문학의 경계를 넘어 제4차 NRC-KAIST 공동 심포지엄, 인공지능법의 새로운 지평을 향하여 박도현광주과학기술원(GIST) AI대학원 조교수 | 2023 겨울호 |
정책지식 생태계 탐구 노르웨이의 연구윤리 거버넌스와 NESH 비다르 에네박(Vidar Enebakk)NESH 이사 | 2023 겨울호 |
정책지식 생태계 탐구 국경을 넘는 연구협력 : 한국-인도네시아 협력의 초석 마련 자헨 파흐룰 레제키(Jahen F. Rezki)인도네시아 국립대학교 경제경영학부 경제지역사회연구소(LPEM-FEB UI) 부소장 | 2023 겨울호 |
인문학의 경계를 넘어 디지털 시대에 인문학이란 무엇일까? 김재인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 2023 가을호 |
인문학의 경계를 넘어 물, 왜 인문학이어야 하는가? 최종수LH 토지주택연구원 건설안전연구실 연구위원 | 2023 가을호 |
'대한민국 정책지식 생태계' 탐구 국가전략 설계와 미래 어젠다 선도를 지원하는 국회도서관 ‘국가전략정보센터’ 김미정국회도서관 정보봉사국 서기관 | 2023 가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