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미래정책 포커스』가 ‘걸어온 길, 나아갈 길’ - 축사①
지방 대학이 직면한 도전과 『미래정책 포커스』가 해야 할 역할

"경제·인문사회연구회와 『미래정책 포커스』가 대한민국의 밝은 미래를 열어감은 물론 지방 대학의 위기 극복과 더 큰 성장, 발전을 위해 어떠한 고민을 해야 하고 무엇을 실천해야 하는지 등의 전략과 비전을 제시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대전환의 시대 한국형 싱크탱크의 전략과 미래 설계를 위한 K-싱크탱크 『미래정책 포커스』의 계간지 창간 10주년 기념 40호 발행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코로나19 등 각종 감염병의 창궐로 인한 비대면, 원격 환경으로의 급격한 변동과 함께 금리 인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등 글로벌 경제위기는 물론, 미·중 패권 경쟁의 격화에 따른 불안정한 국제질서의 시대,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절벽과 지역·계층 간 갈등 등 대전환의 시대 위기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글로벌 시대 대전환기는 복잡한 양상의 구조적인 변화를 예측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그 파고를 극복하는 데는, 종합적인 전망을 통한 장단기 대안 마련을 위해 차별화된 발전전략을 도출할 수 있는 싱크탱크의 필요성이 절실합니다. 이에 지방 대학은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입학생 절벽의 위기 시대를 앞두고 대학 경영의 생존 자체를 깊이 고민하며 이를 대비하고 해결하기 위해 싱크탱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위기 극복을 위한 소프트파워가 필요
팬데믹 과정에서 오프라인 강의가 비대면 강의로 대체되며 온라인 원격 강의를 선호하는 경향이 보편화되는 트렌드를 고려해 볼 때 디지털플랫폼에 기반한 대학 캠퍼스 환경을 학사 운영에 반영하는 등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혁신적이고 빠른 대전환 시대에 유연하면서도 지속 가능하며 위기에 대한 회복탄력성을 갖춘 대학으로 거듭나고, 통합적인 비전을 갖추어 창의적이고 발전적인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대학 스스로는 뼈를 깎는 구조 조정과 학사 개편 등 자구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현재 지방 대학은 지역별 여건, 특성과 함께 실무 역량을 두루 겸비한 미래형 인재를 집중적으로 양성하여 지역 발전에 기여하는 우수 대학으로 거듭나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나 존립 자체가 위협을 받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또한 학령인구의 감소 등에 따른 위기를 극복하고자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청년들이 지역에서 취업·결혼·출산 등 정주할 수 있는 각종 정책사업을 역점 추진하고 있으나, 이러한 위기를 슬기롭게 풀어나갈 만큼 임팩트 있는 소프트파워가 부족한 실정입니다.
이에 지방 대학의 생존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과 비전을 제시하는 데 있어 국가 차원의 싱크탱크와 함께 지방 대학의 노하우와 전문 분야별 교수들의 경험 등이 소중하게 쓰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우리나라의 저출산 대비 정책 실패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 등 지방 대학의 위기를 질책하기보다는 위기와 절멸의 지금 이 시기를 대전환의 시대로 다시 이끌어 갈 대학 총장의 강력한 글로벌 리더십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각종 국가 재정 지원사업을 통한 대학혁신 가속화, 적정구조 재편을 통한 학사조직의 적정 규모화를 마련해야 합니다.
앞으로 지방 대학은 고등학교 졸업생만을 기다리면서 대학을 경영할 수는 없습니다. 줄어드는 입학 정원을 고려해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하고 이들을 우수한 인재로 양성하여 지역의 든든한 일꾼으로 배출해 낼 수 있다면 중소·상공 업체의 구인난 해소와 더불어 지방자치단체 인구 감소 등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농어업 분야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지방 대학이 외국으로부터 청년들을 데려와 대학에서 우수한 인력으로 성장시키고 이들이 지역에 정착하는 데 역할을 다한다면 지역 경제를 위한 노동인구 증가는 물론 지역 인구 증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방 대학이 학령인구의 감소, 글로컬대학 30 선정,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로의 전환 등 어려운 시기에 직면하고 있는 만큼 경제·인문사회연구회와 『미래정책 포커스』가 대한민국의 밝은 미래를 열어감은 물론 지방 대학의 위기 극복과 더 큰 성장, 발전을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지방 대학에서 어떠한 고민을 해야 하고 무엇을 실천해야 하는지 등의 전략과 비전을 제시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다시 한번 K-싱크탱크 『미래정책 포커스』의 2024년 계간지 창간 10주년 기념 40호 발행을 축하드린다는 말씀과 함께 앞으로도 지방 대학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아낌없는 지원을 부탁드리며, 대한민국 싱크탱크 분야 발전과 건승을 기원합니다.
기사는 어떠셨나요?
이 기사에 공감하신다면 ‘공감’버튼으로 응원해주세요!
독자 여러분께 더 나은 읽을거리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