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칼럼
윤석열 대통령은 제78주년 경찰의 날 기념식(2023. 10. 18.)에서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 국가의 첫 번째 존재 이유”라고 강조하였다. 이어 성폭력, 아동학대, 가정폭력, 스토킹과 같이 사회적 약자를 상대로 하는 범죄는 절대 용납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지난여름은 ‘안전’이라는 단어가 유독 빈번히 보이던 계절이었다. 특정 계절에 가끔 발생하는 위협으로 여겨졌던 자연재해는 최근 들어 더욱 빈번해지고 그 피해도 커지고 있다. 오송 지하차도 참사는 우리에게 많은 숙제를 남겼다. 이밖에 자연재해와 사회재난의 영역을 넘어 새로운 위협에 직면했었다. 연이어 발생한 이상동기 범죄(묻지마 범죄)는 우리 사회에 새로운 화두를 던졌다.
<특별좌담>에서는 갈수록 복잡·다양화되는 재난에 대해 국책연, 학계, 언론의 전문가가 모여 안전사회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해법을 모색해보았다. 이 외에도 전재해접근법(all hazards approach) 관점에서의 포괄적 재난 대응,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그리고 국책연구기관의 노력을 살펴보았다. 안전사회 대한민국을 위해 사후적 재난관리 방식에서 벗어나 선제적 예방을 하려면 어떤 것을 준비해야 할지 알아본다
<연속기획 “99년 연구회 체제”를 넘어>는 2022년 겨울호(통권 제35호) ‘싱크탱크와 국제협력’을 시작으로 2023년 봄호(통권 제36호) ‘싱크탱크와 지역 협업’, 2023년 여름호(통권 제37호) ‘싱크탱크와 디지털 전환’을 통해 국책연구기관과 싱크탱크가 앞으로 추구해야 할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번 호 ‘싱크탱크와 인재 양성’은 <연속기획 “99년 연구회 체제”를 넘어>의 네 번째 시리즈로 국책연구기관의 인재 유치 전략을 알아본다. 인재를 얼마나 잘 확보·유지하느냐는 전통적으로 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이슈였지만, 더이상 기업에 국한된 문제는 아니다. 결국 국가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그 중심에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의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해 국책연구기관은 어떤 인재 유치 전략을 갖춰야 하는지 살펴본다. 우수한 정책연구자들을 영입하여 정책연구 현장에서 성장시키고, 사회적 수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제도적 지원방안을 모색하며, 퇴직 이후에도 국가정책에 기여할 고경력 인적자원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제도와 시스템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최근호 보기 총 12 건
포커스 칼럼 AI시대의 인문학 염재호국가AI위원회 부위원장 | 2024 겨울호 |
포커스 칼럼 아동 인권과 글로벌 인도주의 위기 오준한국아동단체협의회 회장(前유엔 대사) | 2024 가을호 |
포커스 칼럼 글로벌 통상 중추국가 전략과 국책 싱크탱크의 역할 정인교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 2024 여름호 |
포커스 칼럼 경제·인문사회연구회와 국가적 과제 신동천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 2024 봄호 |
포커스 칼럼 불확실한 미래, 미래창발적 비전을 갖자 임현진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2023 겨울호 |
포커스 칼럼 함께 한 50년, 함께 할 50년 김복철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 2023 여름호 |
포커스 칼럼 선행학습과 간척사업 최재경고등과학원 원장 | 2023 봄호 |
포커스 칼럼 ‘글로벌 아시아시대’ 사회과학의 도전 박영렬한국사회과학협의회 회장, 연세대학교 교수 | 2022 겨울호 |
포커스 칼럼 인공지능(AI) 시대의 휴머니즘 이광형KAIST 총장 | 2022 가을호 |
포커스 칼럼 범정권·범부처 국가 싱크탱크가 필요하다 황윤원중원대학교 총장 | 2022 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