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FOCUS 겨울에도 초록빛이 무성한 곳“올 겨울엔 국립세종수목원에서 우주여행 떠나보세요” 국립세종수목원 특별전시온실은 계절별로 전시가 바뀌는데, 이번 겨울에는 식물과 함께 우주여행을 떠나볼 수 있는 특별전 ‘나의 초록 우주’가 오는 3월 26일(일)까지 열린다. 지난 8월 발사한 국내 최초 달 탐사선인 ‘다누리호’를 본 따 만든 우주공간 속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선정한 공기정화식물들이 즐비한다. 환상적인 우주 풍경을 무대로 아레카야자, 관음죽, 대나무야자, 인도고무나무 등 10여 종이 넘는 공기정화식물을 보며, 각 식물의 공기정화 효과 정보를 알아볼 수 있다. 이외에도 달 현지 토양을 연구·개발한 인공월면토, 대형실버볼로 만든3m 높이의 크리스마스 트리 등 볼거리가 가득한 우주공간 속 식물과함께 우주여행을 떠나보는 건 어떨까? “반려식물과 반려동물의 행복한 공존” 이뿐만이 아니다. 특별전시온실을 나와 사계절전시온실 중앙홀에서도 다양한 전시가 진행된다. 이번 겨울에는 반려식물과 반려동물의 공존을 위해 꼭 알아야 할 정보를 제공하는 기획전 ‘공존’이 개최된다. 2D 그래픽 디자인이 적용된 색다른 공간에서 대표적인 독성 반려식물 및 안전 반려식물 각 15종을 소개한다. 특별전시온실에 마련된 우주비행사 모형 ⓒ국립세종수목원 2D 그래픽 디자인이 적용된 색다른 공간 ⓒ국립세종수목원 대표적인 독성 반려식물 및 안전 반려식물 각 15종을 소개한다 ⓒ국립세종수목원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은? ‘자연과 국민을 연결하는 수목원·정원 플랫폼 기관’을 비전으로 현재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국립세종수목원, 국립한국자생식물원을 관리·운영 중이다.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에서는 산림생물자원 다양성 보전·복원, 산림바이오 및 정원산업 활성화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최민지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홍보소통팀 주임 2022 겨울호
-
내 마음의 들꽃 산책 꽃으로 드리는 새해 인사“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오래 오래 사십시오” 설날을 앞에 두고 꽃으로 덕담을 드립니다. 아름다운 우리꽃 복수초를 소개하면서 말입니다. 어떠세요. 환하게 피어난 복수초가 햇살을 받아 꽃잎들을 반짝이며 환하게 웃고 있으니 여러분들도 절로 마음이 밝아지시죠? 게다가 복수초라는 이름은 한자로 복 복(福)자에 목숨 수(壽)자, 즉 복 많이 받고 오래 살라는 뜻이 담겨 있으니 여러분께 보내는 첫 꽃인사로 이만한 꽃이 없다 싶습니다. 뒤늦게 내린 서설 속에서도 눈을 뚫고 피어나는 겨울꽃인 동시에 봄꽃인 복수초 ⓒ송기엽 꽃말은 동양에서는 ‘영원한 행복’입니다. 재미난 것은 서양에서의 복수초 이야기는 약간 느낌이 다릅니다. 복수초집안 식물을 통털어 부르는 학명이 아도니스(Adonis)인데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미소년의 이름입니다. 아도니스가 죽어가면서 흐른 피가 진홍빛 복수초를 피워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땅속에 살고 있던 페르세포네란 여신이 아도니스를 살렸고, 제우스는 아도니스에게 평소 사랑하던 사랑과 아름다움의 여신 아프로디데와는 지상에서 반년을, 페르세포네와는 자하에서 반년을 살도록 했다는 것이며, 복수초는 지하에서 살다가 봄이 시작되자마자 사랑의 이야기를 전하러 지상으로 나온다는 것입니다. 생각해보면 이 역시 역경을 초월한 사랑의 메시지임이 틀림없습니다. 복수초는 추운 겨울을 보내고 저 깊은 땅속의 봄기운을 담아 언 땅을 녹여가며 싹을 틔우고 꽃을 피웁니다. 그래서 겨울꽃인 동시에 봄을 알리는 대표적인 꽃이기도 합니다. 이곳저곳 이 땅에서 자라는 모습이 워낙 인상적이라 여러 별칭을 가지고 있는데 땅위에 꽃만 불쑥 튀어 나온 것이 특별하여 땅꽃, 얼음 또는 눈 사이에서 피어나 얼음새꽃 또는 눈색이꽃, 한자로는 새해를 시작할 때 피는 꽃이라하여 원단화라고도 합니다. 눈 속에 피는 연꽃과 같다하여 설연이란 이름도 있습니다. 복수초는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추운 마당에 있다가 따뜻한 집안에 들여놓으면 두 주 만에 꽃을 피운다고 합니다. 복수초를 잘 키우셔서 설날 이 꽃 한 송이를 존경하는 분께 선사하면 어떨까요! “복 많이 많이 받으시고 오래 오래 사세요” 하면서 말입니다. 아름다운 정성과 복수초의 밝음이 드대로 전달될 듯 합니다. 제주도에 자라는 세복수초는 2월이면 꽃을 볼 수 있고, 봄의 기운과 함께 개화 소식이 점차 북상하지요. 국립세종수목원에서도 3월이면 복수초를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른 봄, 아직은 잎 나지 않아 회갈색인 숲정원 어딘가에서 피어나는 복수초를 발견하신다면 그건 분명 행운입니다. 꽃으로 행복해지는 기적을 여러분께 선물하고 싶습니다. 제주 숲에서 음력 정월에 피어나는 세복수초 무리 ⓒ송기엽이유미국립세종수목원 원장 2022 겨울호
최근호 보기 총 12 건
세종FOCUS여름 향기 물씬한 세종 전통문화체험관 배권두세종 전통문화체험관 홍보 주임 | 2023 여름호 |
내 마음의 들꽃 산책여름, 수국의 계절 이유미국립세종수목원 원장 | 2023 여름호 |
세종FOCUS특별한 하루를 만나러 오세요 권세현세종시문화재단 공연장운영팀 대리 | 2023 봄호 |
내 마음의 들꽃 산책향기로운 붓꽃에서 영감과 위로를 이유미국립세종수목원 원장 | 2023 봄호 |
세종FOCUS국책연구단지가 움직이는 날에 여는 ‘카페’ 김민엽세종성요한바오로2세 성당 주임신부 | 2022 가을호 |
세종FOCUS세종 호수공원의 ‘여름’ : 은빛해변과 물놀이섬 전민선경제·인문사회연구회 성과확산부 부전문위원 | 2022 여름호 |
디지털 공공소통고객 여정을 고려한 소통의 중요성 김정렴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디지털소통기획과장 | 2021 겨울호 |
이용어'친환경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 그린플레이션Greenflation 김인철前 한국개발연구원 | 2021 겨울호 |
문화야 놀자하늘이 다시 열리면 우리의 여행은? 이명석문화평론가 | 2021 겨울호 |
디지털 공공소통꾸준한 콘텐츠 제공으로 행동을 변화하는 디지털 캠페인 김정렴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디지털소통기획과장 | 2021 가을호 |